인터넷을 이용하다보면 꼭 보이는게 있다.
사용자 인증
보통 로그인 할때 나타나서 체크를 하라하고 하지 않으면 로그인을 못하게 한다.
로그인 할 때마다 체크하는 경우도 있고 일정이상 비밀번호를 틀릴경우 나타나서 체크를 하라고 하기도 한다. 생각없이 체크를 하고 로그인을 하던 중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게 대체 뭐길래 계속 나타나는 거지?
개발 공부를 하는 입장에서 이게 뭔지는 알아둬야 할 것 같아 조사를 해보고 정리를 해보기로 했다.
1. 이게 뭐지?
CLOUDFLARE는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와 DNS(분산 네임서버)를 이용하여 사이트 성능과 속도, 보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loudflare.com/
Connect, Protect and Build Everywhere
Make employees, applications and networks faster and more secure everywhere, while reducing complexity and cost.
www.cloudflare.com
OSI 7계층의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사업을 한다. 고객들의 원활한 웹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지향한다. WAF (웹애플리케이션 방화벽), DDoS, CDN, DNS 등을 주 사업으로 삼고 있다.
또한, 게임, SaaS, 이커머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공공 부문, 공익 단체, 주 및 지방 정부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CloudFlare는 사용자와 웹서버 사이에 위치해 웹 요청을 가로채고 캐싱, 압축, 최적화등을 통해 웹페이지 로딩 속도도 향상시킨다고 합니다. DDos, SQL 인젝션, XSS등 다양한 웹 공격으로부터 웹사이트를 보호하는 보안 기능도 제공합니다.
2. 효과
CloudFlare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표로 정리해 보았다.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 웹 페이지 로딩 속도 향상, 사용자 경험 개선,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른 콘텐츠 전달 |
DDoS 공격 방어 | 대규모 DDoS 공격으로부터 웹사이트 보호, 서비스 중단 방지 |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WAF) | SQL 주입, XSS, CSRF 등 웹 공격 방어, 웹사이트 보안 강화 |
SSL/TLS 인증서 제공 | 웹사이트 통신 보안 강화, 사용자 신뢰도 향상 |
3. 정리
CloudFlare는 웹사이트의 성능과 보안을 향상시키는 도구다. 이 웹사이트는 개인사이트일 수도 있고 공인사이트일 수도 있다.
더 빠르고 안전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덕분에 나무위키나 디스코드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것 같다. 나도 언젠가 웹사이트 개발을 할 기회가 생긴다면 CloudFlare를 적용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알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 RESTful API란? (0) | 2024.11.24 |
---|---|
[OS] 프로세스 스케줄링 (2) : 스케줄링 종류 (1) | 2024.11.23 |
[OS] 프로세스 스케줄링 - (1) 프로세스와 그 스케줄링 방법 (3) | 2024.11.22 |
[백엔드] CRUD에 대해 알아보자_with Spring-Boot (1) | 2024.11.20 |
GitHub Colab에서 만든 파이썬 파일 업로드시키기 (4)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