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팀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그럼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어떻게 공유해야 할까?
각자의 코드를 메일로만 보내는 식으로한다면 정말 비효율적일 것이다. 이런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GitHub다.
Github는 소스코드를 올리는 공간, 그 소스코드를 올려주는 역할은 Git이 하게 된다.
우선 깃허브 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하여 계정을 생성한다.
그 후 레포지토리 생성을 클릭하여 이름을 정해주고 필요하다면 readme파일 자동생성을 클릭해주고 Create repository버튼을 클릭하여 생성시켜준다.
이제는 Git을 다운받을 것이다.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OS버전에 맞게 다운을 받으면 된다.
다운을 받고 나면 Git Bash를 열어 기본적인 설정을 해줄 것이다.
Git Bash에서 유저이름을 설정해준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그 다음 유저 이메일 설정을 해준다. 깃허브가입시 사용한 메일을 입력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
그 후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git config --list
이제는 파이썬 코딩에 사용하는 Colab 의 코드를 깃허브에 업로드 해보겠다.
코랩 - 파일 - GitHub에 사본 저장 을 클릭한다.
저장소선택을 하여 원하는 레포지토리에 저장할 수 있다.
파일 경로에서 '폴더명'/'파일명' 이렇게 입력하면 폴더를 생성하면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다으모가 같이 깃허브에서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알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 RESTful API란? (0) | 2024.11.24 |
---|---|
[OS] 프로세스 스케줄링 (2) : 스케줄링 종류 (1) | 2024.11.23 |
[OS] 프로세스 스케줄링 - (1) 프로세스와 그 스케줄링 방법 (3) | 2024.11.22 |
[백엔드] CRUD에 대해 알아보자_with Spring-Boot (1) | 2024.11.20 |
클라우드 플레어... 이게 뭐지? (1) | 2024.09.13 |